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 모든 셋팅을 확 낮췄다. 나름 탁하면서 뿌옇게 변했다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 채도가 싹 낮아지며 나름 괜찮기도 하며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 또 어떤 곳에서는 약간 브라운톤이 나기도 한다. 칼라톤을 -2로 하면 마젠타가 많아진다(반대로 +2로 가까이 하면 그린톤이 쎄진다)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 실제 느낌과는 다르다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 후투티 발견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 야웅이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1(-2, -2, -2, -2)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2(+2, +2, +2, +2) 이젠 반대로 모든 셋팅을 +2로 변경하고 찍어보았다. RAW 촬여을 하긴 하지만 캐논 DPP로 변환. 노출만 약간 건드리기 때문에 바디셋팅 그대로 JPG로 변경이 가능하다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2(+2, +2, +2, +2). CMOS인데도 마치 CCD 센서같은 착각을 일으킨다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2(+2, +2, +2, +2) 실제로 DPP에서 칼라톤만 변경해도 하늘색상을 완전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2(+2, +2, +2, +2) 올드바디에 올드망원헝그리줌렌즈이지만 대낮에는 깔끔한 사진을 보여준다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2(+2, +2, +2, +2)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2(+2, +2, +2, +2) 새가 들어가면 후보정이 들어간다.
[Canon 20D + 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] 셋팅2(+2, +2, +2, +2) 까치 눈 어디갔니
Canon 20D
Tamron 70-300mm f4-5.6 Di LD Macro